본문 바로가기
책. 가슴으로 느껴라: 부정과 긍정

2차 부정********

by 넥투포스 2020. 10. 28.
728x90

 

최초로 일으켜진 [1 부정 = 잘못된 ] 대해 [다시 부정]하는 생각이나 행위

 

2 부정은 최초의 잘못된 모든 부정에 대해 대응하거나, 거부하거나, 싸우거나, 제거하거나, 처리해서 긍정을 만들기 위한 행위이다.

 

두번째 챕터에서 욕을 하면 입에서 악취가 난다고 얘기했는데 사실 쓰레기들에게는 욕을 해줘야 한다. 바로 쓰레기들이 1 부정을 일으키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물론 욕을하면 입이 더러워져서 안하고 마는 사람이 있을지는 모르지만, 더러운 놈에게 더러운 것을 가르쳐주지 않으면 당신이 바보같이 당하는 알고 쓰레기들 생각에 자신보다 약자라 생각하고, 다음에 쓰레기짓을 하게 되어있다. 그들의 머릿속은 그렇다. 병신들이라 당신처럼 생각하지 않는다. 2차부정은 쓰레기들의 병신과 같은 수준낮은 생각을 제거하기 위해서 필요한것이다.

 

[똥쓰레기 새끼]에게 [똥쓰레기 새끼]라고 말해줘야 자신들이 [똥쓰레기짓] 하는지 안다.

 

쓰레기들의 생각은 일반 사람들과 달라서, 그들에게 가르쳐주지 않고 말을 안하면 지가 하는 안다. 그래서, 당연히 긍정존재는 욕이 싫겠지만, 부정새끼에게 부정하기 위해 부정언어 욕을 배워 필요가 있다. 욕을 하는 것이

아무 잘못없는 남에게 정신적 피해를 주기 위해서가 아니다. = 1 부정에 해당

오직 부정언어가 사용될 타이밍은 부정에 부정하기 위해서이다. = 2 부정에 해당

이와같이 욕를 알고 있더라도 부정언어를 말하는 것은 항상 방향성에 의거한다 (챕터 방향성 참조)

 

잠깐, 욕을 싫어하는 긍정존재를 봐도 1 부정과 2 부정의 형태가 나타난다.

욕이 싫다 = (1 부정) X 싫다(2 부정) = 긍정 결과 -> 긍정 존재들

욕이 좋다 = (1 부정) X 좋다(긍정) = 부정 결과 -> 부정 존재 = 쓰레기들

사실 욕을 좋아할 사람은 없다. 정확히는 듣는입장에서 욕을 좋아할 사람은 없다. 하지만 욕을 하는 입장에서는 욕을 좋아하는 똥쓰레기들이 있다. 똥쓰레기들은 지가 욕먹는건 죽을만큼 싫으면서, 하나같이 상대를 장난삼아, 기분대로 욕하기를 좋아한다.

 

국민이 뽑아 국민을 위해 일해야 하는 원래 목적의 국회의원이, 원래 자리의 목적에 반해고 오직 자신의 이득(사익) 사리를 원하며 국민을 등쳐먹고, 세금을 훔치고, 국민을 위한 정치가 아닌, 자신들이 국민들을 ,돼지로 보고 지배하려는 목적으로 바뀌어 일하는 국개의원이 되는 순간, 우리는 그들에게 욕을 해줘야 한다. 그들에게 욕을 하지 않으면, 그들은 자신들이 잘하는 뿐더러, 여전히 국민들을 ,돼지로 생각하면서, 자신이 지배하고, (자신들의 생각에) 선량하고? 착하고? 없는? 멍청한? 노예인? 자신들의 종인? 국민은 여전히 자신의 꼬봉이며 자신들이 병신임에도, 국민을 위한 일꾼임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국민을 병신으로 생각하며, 그게 잘하는 짓이고, 아무 문제 없다고 생각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는 반드시 1 부정에 2 부정을 해야 한다. 잘못된 것을 옳게 만들고, 바르게 만들기 위해서 말이다.

데이트할 때를 생각해보자. 어느 누구도 데이트 상대에게서 악취가 나는 것을 좋아하지 않을 것이다. 데이트 상대가 안좋은 냄새를 맡으면 기분이 나빠지고 싫어지게 된다. 그래서 우리는 안좋은 냄새나는 (1차부정) 부정하기 위해 씻고(2차부정), 입이 썩고 냄새나는 (1차부정) 방지하기 위해 양치질(2차부정)하는 등의 일을 한다. 우리에게 생긴 더러움이라는 부정사실을 제거하는것이다. 긍정인 깨끗한 상태를 만들기 위해서, 우리는 더러워지면 더러움을 부정하기 위해 씻고, 치우고, 청소하는 긍정상태를 만든다. 이 모든 것이 2차부정이다.

우리가 에어컨을 트는 이유는 더움이라는 부정에 대해 부정하기 위해 긍정상태를 만들기 위해 하는 행동이다.

더운 나라에서 두바이 같은곳의 인도에 지붕을 넓게 두어 가능한한 사람들이 그늘에서 다니게 하면 좋을 것이다. 바로 이게 부정에 부정하는 일이고, 실제 그렇게 만들어지면 부정에 부정하는 결과가 된다. 또한 지붕에 태양열 발전을 동시에 진행한다면, 에너지 부족이라는 부정에 부정하는 또다른 결과를 수도 있다. 물론 애초에 부정이 없는 상태로 더위를 느끼면 아무 필요없지만….

 

[ 부정 X 부정 = 긍정 ]

 

[긍정]은 오직 [하나]만 있다

[부정] [1차부정][2차부정]이 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