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150

부정적 사실: #9. [파괴]에 대한 2차 부정 잘못된 것을 파괴하는 것은, 부정에 부정하는 결과를 낳는다. 2020. 10. 28.
부정적 사실: #8. [외모]에 대한 2차 부정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0. 10. 28.
부정적 사실: #7. [한계]에 대한 2차 부정 이 부분은 솔직히, 기술이 발전되고, 시스템이 더 나아지면서, 올해 바닥 난다던 석유도 끊임없이 쓰고 있고, 하루에도 수 많은 자동차가 석유라는 에너지를 쓰고 다닌다. + 자원이 제한적인 것 같지만, 에너지들이 변형하고 존재하고, 없어지는듯 보이지 않고 하면서, 결국 우리의 전체를 이루고 있다. 제한적이라는 것을 통해, 우리는 효율이라는 것을 얘기할 수 있게 되나, 이 또한 무언가를 하기 위한 삶의 과정이 되기도 한다. 적제적소에 에너지가 쓰이는 형태를 이룬다고 할까? 하지만 버려질 수 밖에 없는 남는 에너지나 자원은 여전히 또한 존재한다. 과정으로 심야 전기를 축전해서 공급해도 좋을텐데~ 하늘나라에서는 한계가 없다. 에너지의 변형만 존재할 뿐일것이다. 죽음이 없고, 먹지 않아도 되는, 에너지의 형태 혹.. 2020. 10. 28.
부정적 사실: #6. [부정언어]에 대한 2차 부정 쓰레기들에게 쓰레기라고 욕하는 것은 부정에 부정하는것이다. 욕을 먼저 배우는것도, 욕을 쓰기보단, 욕을 먹었을 때를 알기 위함이 더 강하다. 쓰레기들 사이에 존재하면서, 늘 1차 가해 즉 1차 부정을 일으키는 병신새끼들은 입에 욕을 달고 살기에, 이새끼들에게 약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또 내가 부정을 긍정해 병신이 되지 않으려면 부정에 2차 부정처리를 해주어야 하는것이다. 그래서 그들에게는 다시 욕으로 돌려줄 필요가 있다. # 선의의 거짓말 2. 선의의 거짓말은, 악에게 당하지 않기 위해 필요하다. 부정의 부정하는 결과이다. 항거 유관순 영화를 보면, 진실되었던 아이 엄마 때문에, 유관순이 고통을 받게 된다. 도대체 지배한 놈들이 잘못한 것을, 왜 구지 애써 막으려고 하면서, 지배되지도 않는 것을 지배하려.. 2020. 10. 2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