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가슴으로 느껴라: 부정과 긍정

어릴쩍 우리의 꿈

by 넥투포스 2021. 9. 3.
728x90

 

어릴적 꿈도 내가 남을 위해 존재하는 []들이다.

 

내가 어렸을 때만 해도, 초등학교 때부터 친구들의 꿈은 정말로 다양했다. 그리고 어려서는 우리는 돈을 생각하지 않았다. 그리고 누군가를 위한 어떤 존재가 되기 위함이였다. 과학자가 되어서 더 나은 지구를 만들겠다고 했고, 의사가 되어서 아픈사람이 없도록 하고 싶어 했다. 대통령이 되면 더 살기 좋은 나라를 만들고 싶어 했다. 우리가 갖는 꿈의 방향은 항성 [내가 아닌 너]를 향해 있었다.

 

Q. 어려서 당신의 꿈은 무엇이었나? 왜 그 꿈을 갖고 싶었나?

 

아픈 사람들을 치료해주고 싶은 마음.

나은 세상을 만들어 사람들을 행복하게 해주겠다는 대통령.

국가의 대표가 되서 한국을 알리겠다는 운동선수.

아픈 사람이 없는 세상을 만들겠다던 의사.

불이 나는곳에 피해를 제거하기 위한 소방관.

사람들이 나은 시스템과 환경속에서 살게끔 하겠다는 국회의원들.

 

천재도 인류를 위하는게 아니라면 의미가 없다.

 

천재를 부러워 필요도 없다. 천재는 인류를 좀더 나은쪽으로 이끌기 위해 우리를 위해 존재하는 존재일 뿐이다. 그가 나보다 잘났다고 부러워 할 필요가 없는것이다. 심지어 천재와 자신을 비교할 필요도 없다. 천재(강자)들이 당신(약자)을 위한다면, 당신은 단지 더 천재들의 결과물을 누리기 위해 존재하고 있는거니까. ‘나는 왜 못할까?’, ‘나는 왜 멍청할까?’라는 부정감정이 드는 생각보다는 내가 뭘 해줄 수 있을까?’, ‘내가 무엇을 도울 수 있을까?’ 라고 자신에게 묻자.  당신의 기분(=에너지상태)를 이왕이면 부정감정이 드는것보다 긍정감성이 작용하게 결정짓는 일이니까 ^^

우리는 거대한 자연속 스스로 존재한 에너지의 어짜피 하나의 삶을 살고 있는 존재에 불가하지 않는다.

 

꿈은 =이타심의 결정체 인 것이다.

 

하지만, 고등학생이 되고 나니, 현실에 가까워지는지, 꿈이 돈과 연계가 되기 시작한다. 높은 연봉, 좋은 직장, 좋은 대학, 좋은 등등등, 이 모든 것이 돈을 잘 버는 직업으로 바뀌어 간다. 또 잘못된 부모세대들이 돈돈돈 거리면서, 돈을 위한 시대에 맞게 바뀌어 갔다.

 

예를 들면,

 

공무원이 꿈이었다가

아이돌 가수 등이 꿈이었다가

유튜버가 꿈이고

728x90